배움N도전일기/회계 자격증 도전기

전산회계1급 1일1기출 | 보조부문 상호 간의 용역수수에 따른 배분방법

kind-blossom 2025. 4. 1. 11:20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산회계1급 원가회계 중 보조부문 상호 간의 용역수수에 따른 배분방법에 대해 알아볼텐데요. 보조부문(관리부문, 지원부문 등)간의 용역이나 비용을 어떻게 배분할 것인가에 대한 방식을 말해요. 직접배분법, 단계배분법, 상호배분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게요. 시험에 잘 출제되는 부분이니까 눈을 번쩍 뜨고 보셔야 해요. ^^

728x90

전산회계1급 1일1기출 | 보조부문 상호 간의 용역수수에 따른 배분방법

A회사(단위 :만원)

생산부문 : A(제품 제조), B(포장)

보조부문 : X(시설 관리), Y(인사 관리)

비용 : X의 총비용 100, Y의 총비용 80

용역 수수 관계 는 아래와 같다.

X는 Y에 20% 용역제공,

A에 50%, B에 30% 제공

Y는 X에 25% 용역제공,

A에 40%, B에 35% 제공

 

1. 직접배분법

보조부문끼리의 비용을 고려하지 않고, 보조부문이 제공한 용역만을 주된 부문에 배분하는 방법이에요. 그러니까 각 보조부문에서 발생한 원가를 제조부문에 직접배분하는 방법이으로 보조부문 상호 간의 용역수수관계를 완전 무시하는 방법입니다.

 

예시로 다시 설명해볼게요. 보조부문이 주고 받은 것을 무시한다고 했으니까 보조부문의 비용을 생산부문(A,B)에만 직접 배부하는거에요. 간단하지만 상호용역을 반영하지 않아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죠.

 

X의 비용 100만원을 A와 B에만 배부(Y에 준 20% 무시)

전체 제공 비율 중 생산부문 비율로 재조정 : A(50%) + B(30%) = 80%

A = 100 × (50/80) = 62.5만원

B = 100 × (30/80) = 37.5만원

Y의 비용 80만원을 A와B에만 배부( X 에 준 25%는 무시)

전체 제공 비율 중 생산부문 비율로 재조정 : A(40%) + B(35%) = 75%

A = 80 × (40/75) = 42.67만원

B = 80 × (35/75) = 37.33만원   

 

∴ A = 62.5 + 42.67 = 105.17만원

   B = 37.5 + 37.33 = 74.83만원

2. 단계배분법

보조부문 간의 용역 수수 관계를 일부 고려하여 배분 순서를 정한 후 일방향으로 비용을 배분하는 방법이에요. 먼저 배분되는 보조문의 비용은 다른 모든 부문(다른보조부문 포함)에 배분되지만, 나중에 배분되는 보조부문의 비용은 이미 배분된 보조부문에 배분되지 않는 방식이에요. 

 

다시 말해서 보조부문 간에 원가배분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보조부문원가부터 보조부문 및 제조부문에 배분하고, 다음 보조부문에서 그 다음 하위 보조부문 및 제조부문에 단계적으로 배분하는 방법이랍니다. 나중에 나올 상호배분법 보다는 간편하고 직접배분법에서 무시했던 부문간 용역수수를 인식한다는 장점이 있겠죠. 다만 우순선위 결정이 잘못 될 경우 직접배분법보다 왜곡된 원가배분이 이뤄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죠.

반응형

X가 Y에 더 많이 용역 제공(20%)하니 X부터 배부 시작
X의 100만원을 배부
Y = 100 × 20% = 20만원
A = 100 × 50% = 50만원
B = 100 × 30% = 30만원
Y의 총비용은 원래 80만원 + X에서 받은 20만원 = 100만원
Y가 X에 제공하는 25%는 이미 배부 끝난 X라 무시하고 A, B에만 배부:
A = 100 × 40% = 40만원
B = 100 × 35% = 35만원
A = 50(X에서) + 40(Y에서) = 90만원
   B = 30(X에서) + 35(Y에서) = 65만원

 

이 예시에서 보셨다시피 X가 Y에게 준 용역은 반영했지만, Y가 X에 주 용역은 반영하지 않았죠. 즉 Y가 우선순위였다면 값은 달라졌겠죠. 

3. 상호배분법

보조부문 간 상호 용역을 모두 반영해요. 연립방정식을 풀거나 반복 계산으로 정확한 배부액을 구할 수 있죠. 가장 정확한만큼 가장 복잡하답니다. 즉 보조부문 간의 상호 관련성을 모두 고려하는 배분방법으로 보조부문 사이에 용역수수관계가 존재할 때 각 보조부문 간의 용역수수관계를 연립방정식을 통해 계산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각 보조부문원가를 배분하는 방법이란거에요. 

 

※ 각 보조부문의 총 배분액을 미지수로 놓고 연립방정식을 세울 것!

X의 총비용을 X’, Y의 총비용을 Y’라 하고 방정식 세우기

 

X’ = 100 + 0.25Y’ (X의 원래 비용 + Y에서 받은 용역)
Y’ = 80 + 0.20X’ (Y의 원래 비용 + X에서 받은 용역)
연립방정식 풀기:
➡ X’ = 100 + 0.25Y’
➡ Y’ = 80 + 0.20X’
    2번을 1번에 대입: X’ = 100 + 0.25(80 + 0.20X’)
    X’ = 100 + 20 + 0.05X’
    0.95X’ = 120 → X’ = 126.32만원
    Y’ = 80 + 0.20 × 126.32 = 80 + 25.26 = 105.26만원

X’(126.32만원): Y = 126.32 × 20% = 25.26만원

A = 126.32 × 50% = 63.16만원

B = 126.32 × 30% = 37.90만원

 

Y’(105.26만원): X = 105.26 × 25% = 26.32만원(이미 계산에 반영)

A = 105.26 × 40% = 42.10만원

B = 105.26 × 35% = 36.84만원
A = 63.16(X에서) + 42.10(Y에서) = 105.26만원
   B = 37.90(X에서) + 36.84(Y에서) = 74.74만원

 

(단위 : 만원)

방법 A(제조) B(포장) 장점 단점
직접배분법 105.17 74.83 속도빠름 정확도 낮음
단계배분법 90 65 직접배분법과 상호배분법의 절충형 우선순위가 설정 잘못 설정되면 더 왜곡된 원가 배분이 이뤄질 수 있음.
상호배분법 105.26 74.74 정확도가 높음 많은 시간이 소요됨.

 

 

3가지 방법, 조금 어렵죠? 오늘은 만우절이니까 이렇게 생각해보세요.

직접배분법은 간단한 장난, 단계배분법은 조금 설계된 장난, 상호배분법은 완벽하게 계산된 장난이요. 네. 전혀 위로가 되지 않는다는건 알지만, 이것 또한 자꾸 풀다보면 적응이 됩니다.

 

그럼 오늘도 고생하셨고요. 다음에는 관련기출문제와 보조부문 원가형태에 따른 배분방법에 대해 배울테니까 이번 보조부문 상호 간의 용역수수에 따른 배분방법 완벽하게 이해해놓으셔야 해요. 공부는 쌓아두면 안됩니다. 

 

 

전산회계1급 기출문제 분석
전산회계1급 기출문제 분석

 

▼ 파이썬 혼자 공부하기 망설이셨던 분들, 하루 5분 꼼꼼한 파이썬 강의 ▼

 

 

딕셔너리(Dictionary)의 개념과 활용법 [030강]

이번 강의는 파이썬의 중요한 자료형인 딕셔너리(dictionary)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딕셔너리는 데이터를 키(key)와 값(value)의 쌍으로 저장하며, 실제 프로그래밍에서 매우 자주 사용됩니다. 이번

caramelfilm.tistory.com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