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번 시간에 제가 살포시 놓고 간 원가 개념과 분류 기출문제 13문제 잘 풀어 보셨을까요. 미루지 말고 하루에 한 문제라도 하나의 이론이라도 눈에 익히셔야 해요. 기억나지 않는 걸, 어려운 걸 피하면 그건 내것이 되지 못해요. 기억나지 않는걸 인정하고 다시 기억을 만들면 돼요. 어렵다면 자꾸 봐서 친근해지고 익숙해지면 돼요.
우리는 결전을 위해서 무수히 많은 낯섦과 여러움을 경험하고 극복하는거에요. 아시겠죠. 힘냅시다. 오늘은 우선 109회 부터 111회에 해당하는 기출문제 풀이를 해보도록 할게요. 눈 부릅뜨세요. 많이 틀렸다는건 오늘 우리가 알아는게 많다는거니까 기죽지 마세요.
1일1기출 전산회계 1급 | 원가 개념과 분류 관련 기출문제 Ⅰ
전산회계 1급 109회 9번
제조원가에 해당하는 것을 묻는 문제죠. 제조원가가 무엇인지 알면 암기를 하지 않아도 풀 수 있어요.
제조원가는 말 그대로 제품을 생산하는데 발생한 모든 원가를 말해요. 3가지 요소를 기억해내서 직접재료원가(직접재료비), 직접노무원가(직접노무비), 제조간접원가(제조간접비). 그럼 비제조원가는 뭐였죠? 제조활동과 관련이 없는 제품의 판매활동과 일반관리활동에서 발생하는 원가로 일반적을 판매비와 관리비가 여기에 해당한다고 했죠. 제조원가를 찾던지, 비제조원가인 판매비와관리비를 찾던지 둘 중 하나로 접근하시면 됩니다. ①번입니다.
①번은 공장 전기요금으로 제조간접비에 해당하겠죠. 즉 제조원가가 맞아요. ②영업용 사무실 전기요금, ③마케팅부의 교육연수비 ④ 생산공장 기계장치의 처분손실은 판매비와관리비에 해당하는 비제조원가입니다.
전산회계 1급 110회 9번
회계의 구분에서 재무회계와 관리회계(원가회계) 차이들을 생각하면 풀리는 문제입니다. 재무회계는 외부정보이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목적이었고, 관리회계(원가회계)의 경우 내부정보이용자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주는거였죠. 보고수단도 재무회계는 재무제표, 관리회계(원가회계)의 경우 특정한 형식이 있기 보다는 내부공시를 통한 특정 보고서 정도라고 생각하면 되죠. 재무회계는 과거에 기업에 활동을 보고하는 것이므로 시간적 관점이 과거 지향적이고, 관리회계(원가회계)는 기업의 미래 나아가야 하는 방향을 위해서 미래지향적이라고 볼 수 있어요. ①번이 정답입니다.
전산회계 1급 110회 10번
그래프가 나오면 눈을 질끈 감아버리는건 아닌지요. 제가 그랬거든요. 근데 그래프를 보면서 이해하는게 훨씬 더 기억에 많이 남아요. 눈을 크게 뜨고 저번에 잊었다면, 이해하지 못했다면 한 번 더 보면 되는거에요.
먼저 고정원가를 복습해죠. 총원가기준 그래프와 단위당 고정원가 기준이 있었죠. 고정원가는 조업도 변화와 관계없이 총원가가 일정한 원가를 고정원가라고 한댔죠. 예를 들어볼게요. 공장 임대료가 한달에 1,000,000원이라고 가정할게요.
생산량(개) | 총 고정원가(원) | 단위당 고정원가(원) ➡ 총고정원가 / 생산량 |
1개 생산 | 1,000,000 | 1,000,000 / 1 = 1,000,000 |
10개 생산 | 1,000,000 | 1,000,000 / 10 = 100,000 |
100개 생산 | 1,000,000 | 1,000,000 / 100 = 10,000 |
1,000개 생산 | 1,000,000 | 1,000,000 / 100 = 1,000 |
즉, 생산량이 많아질수록 단위당 고정원가는 줄어들겠죠. 반대로 생산량이 적을수록 단위당 고정원가는 늘어나고요. 총고정원가는 변함이 없는거에요.
그럼 변동원가도 정복하라고 가볼까요?
조업도의 변동에 따라 총원가가 직접적으로 비례해서 증감하는 원가를 변동원가라고 해요. 이것도 총변동원가 기준과 단위당 변동원가 기준으로 나뉘어 생각해볼게요. 예를 들어 원자재비나 포장비로 생각해보세요.
생산량(개) | 총 변동원가(원) | 단위당 변동원가(원) ➡ 총변동원가 / 생산량 |
1개 생산 | 500 | 500 / 1 = 500 |
10개 생산 | 500 × 10 = 5,000 | 5000 / 10 = 500 |
100개 생산 | 500 × 100 = 50,000 | 50,000 / 100 = 500 |
1000개 생산 | 500 × 1000 = 500,000 | 500,000 / 1000 = 500 |
즉, 생산량이 늘어날 수록 총변동원가도 함께 증가를 하죠. 생산량이 줄어든다면 총변동원가도 함께 감소할거에요. 하지만 변동원가 보세요 일정하죠. 생산량과 상관없이 일정하답니다.
① 변동원가는 조업도가 증가할수록 총원가도 증가한다. (0)
② 변동원가는 조업도가 증가할수록 단위당원가도 증가한다. (X) 조업도(생산량)가 증가해도 단위당원가는 일정하다.
③ 고정원가는 조업도가 증가할수록 총원가도 증가한다. (X) 고정원가는 조업도가 증가하더라도 일정하다.
④ 고정원가는 조업도가 증가할수록 단위당 원가도 증가한다. (X) 고정원가는 조업도가 증가할수록 단위당 원가는 감소한다. 정답은 ①번입니다.
전산회계 1급 111회 9번(마지막 부분 문제)
9번문제는 전반적인 원가 개념들을 파악하면 풀 수 있는 문제인데, 이렇게 섞여 나오면 헷깔릴 수 있어요. 원가 개념과 분류 파트가 간단한 것 같지만 이걸 잘해둬야지 뒤에 나오는 원가 다른 파트가 수월하니까_ 자주자주 눈에 익혀두셔야 해요.
제품을 제조하는데 직접적으로 드는 비용은 기본원가(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제품을 완성된 상태로 만들기 위한 모든 가공과정에 드는 비용은 가공원가(직접노무비, 제조간접비)에요. ①번 지문이 옳아요.
제품이나 서비스에 바로 연결될 수 있는 원가(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가 직접원가, 특정 제품과 바로 연결하기 어려운 원가(제조간접비)가 간접원가이죠. ②번 지문은 옳아요.
의사결정의 관련성에 따라 특정 의사결정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원가로 선택가능한 대안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미래의 원가 차이로 차액원가라도 불리는 관련원가가 있고요. 여러가지 대안, 선택안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고 했죠. 거기 안에 있는게 기회원가였어요. 다른 선택지에서 얻을 수 있었던 최대이익(기회비용=기회원가). 그렇다면 현재 또는 미래 의사결정에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는 원가가 비관련원가였고요. 거기 안에 매몰원가가 있었어요. 이미 지출되어 회수할 수 없는 원가(매몰원가). ④번 지문도 옳아요.
마지막 남은 ③ 변동원가는 생산량이 증가할 때마다 단위당 원가도 증가하는 원가이다 가 틀렸죠. 저게 맞는 지문이라면 단위당원가가 총원가로 바꾸면 돼요. 하지만 증가하는 원가이다를 옳은 지문으로 하려면 변동원가는 생산량이 증가할 때마다 단위당 원가는 일정하다. 라고 바꾸면 좋겠죠.
어떠셨나요? 버벅거릴 수 있지만, 문제를 풀어보는게 좋은게 이론만 보면 하나로 정리가 되지 않는게 정리가 되거든요. 어떻게 공부를 해야하는지 방향도 잡히고요. 다음시간에도 원가개념과 분류 관련 기출문제를 풀어볼게요. 차근차근 우리 연습해봐요.
<< 혹시 긴가민가 하거나 이거뭐야? 하시는 분들 아래 링크된 글을 보고 오시면 돼요. >>
1일1기출 전산회계1급 원가회계 chapter 원가 개념과 분류I
오늘은 원가회계 이론을 정리하도록 할게요. 전산회계 1급을 공부하실 때 원가회계는 나름 결정을 해야 합니다. 원가회계 경우 이론문제 6~7문제 출제 제외하고 실무문제에는 출제가 되지 않습
kind-blossom.tistory.com
1일1기출 전산회계1급 원가회계 chapter 원가개념과 분류II
안녕하세요. 오늘도 저번시간에 이어서 원가개념과 분류 두번째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원가의 분류를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 해요. 원가분류표는 저번시간 자료를 참고
kind-blossom.tistory.com
▼ 파이썬 혼자 공부하기 망설이셨던 분들, 하루 5분 꼼꼼한 파이썬 강의 ▼
파이썬 독학 무료 강의 | 반복문 제어 및 응용 실습(break, continue, else)
1. 반복문 제어란?⊙ 반복문(for, while)을 사용할 때, 특정 조건에서 반복을 종료하거나 건너뛰어야 하는 상황이 있습니다. 이때 break, continue, else를 활용하면 더 유연한 반복문을 만들 수 있습니다.
caramelfilm.tistory.com
'배움N도전일기 > 회계 자격증 도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일1기출 전산회계1급 | 원가 개념과 분류 관련 기출문제 Ⅲ (2) | 2025.03.21 |
---|---|
1일1기출 전산회계 1급 | 원가 개념과 분류 관련 기출문제 Ⅱ (10) | 2025.03.20 |
1일1기출 전산회계1급 | 원가개념과 분류 관련 기출문제 (4) | 2025.03.19 |
1일1기출 118회 8번 관련 기출문제 풀이 (18) | 2025.03.18 |
1일1기출 118회 8번 문제분석 전산회계 1급합격 (6)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