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움N도전일기/회계 자격증 도전기

1일1기출 전산회계 1급 | 원가 개념과 분류 관련 기출문제 Ⅱ

kind-blossom 2025. 3. 20. 12:54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저번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원가 개념과 분류 관련 기출문제를 풀어볼게요.

 

1일 1 기출 전산회계 1급 | 원가 개념과 분류 관련 기출문제 Ⅱ

원가 개념과 분류 관련 기출문제 112회 - 114회

 

 

전산회계 1급 112회 9번

원가 개념에 대한 문제이죠. 문제를 보면 저번 시간 유형과 지문들이 거의 유사해요. 기본적인 이론을 알고 기출문제를 풀어보면 쉽게 합격하실 수 있을 거예요. 모든 지문에 하나하나 매달리지 말고 완전히 맞고, 완전히 틀린 것만 찾아내시면 돼요. 그리고 나머지는 아, 이런 표현으로 지문이 구성되는구나 눈에만 담으시면 되고요.

 

이 문제에서 관련 범위 내 또는 관련 범위 밖이란 표현이 나오죠. 관련 범위란 기업이 현재 운영하는 수준에서 정상적으로 발생하는 생산량 또는 활동 수준의 범위예요. 즉 현재 시설, 인력, 장비 등을 변경하지 않고 운영할 수 있는 범위를 뜻해요. 쉽게 말해서 어떤 공장이 기계 1대로 자동차를 하루 최대 100대까지 생산가능하다고 해볼게요. 100대 이하가 관련 범위 내, 100대를 넘어서부터가 관련 범위 밖이 되겠죠. 

728x90

그럼 이렇게 생각해 볼게요.

기계 1대로 하루 1,000대까지 자동차가 생산 가능할 때(관련 범위 내) 공장임대료 100만 원은 변함이 없어요. 총고정원가는 변함이 없죠. 근데 단위당 고정원가는 어떨까요. 예를 들어 하루 100대 생산할 경우 단위당 고정원가(총고정원가/생산량=100만 원/100대)는 10,000원, 하루 1,000대 생산할 경우 단위당 고정원가(총고정원가/생산량 = 100만 원/1000대)는 1,000원이 되는 거죠. 즉 관련 범위 내 단위당 고정원가는 감소하게 되겠죠. 그럼 변동원가는요? 관련 범위 내에서 100대 생산할 때 재료비와 1000대 생산할 때 필요한 재료비는 다르겠죠? 생산량이 많아질수록 총변동원가는 증가할 거예요. 그럼 단위당 변동원가는요? 100대를 만드는데 재료비가 1,000,000원이라고 할게요. 1,000대를 만들려면 재료비는 10,000,000원이 필요해요. 총변동원가는 증가 하죠. 근데 단위당 변동원가(총변동원가/생산량)는 100대일 경우(1,000,000/100)는 10,000원, 1000대일 경우(10,000,000/1000) 단위당 변동원가는 10,000원이에요. 일정하죠. 변함이 없어요.

 

정리해 보면 관련 범위 내에서 총고정원가, 단위당 변동원가는 일정(변함이 없음)해요. 하지만 단위당 고정원가는 감소하죠.

 

그럼 관련 범위 밖은 어떨까요. 하루 최대 100대까지 자동차를 생산할 수 있는 공장임대료가 1,000,000원인데, 갑자기 기존 공장으로 감당이 안 된다면, 새로운 공장을 임대하거나, 기계를 추가해야 하니까 총고정원가는 늘어날 수도 있어요. 그렇다면 단위당 고정원가도 변화가능성이 있죠. 변동원가 또한 원자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할 테고, 단위당 변동원가는 어떨까요? 원자재를 대량 구매하면 100,000원이던 걸 95,000원으로 낮아질 수도 있는 거잖아요. (대량구매 할인 생각해 보세요.) 

 

관련 범위 밖에서는 총고정원가는 증가 가능, 단위당 고정원가 또한 변화 가능성이 있어요. 총변동원가 또한 재료비가 많이 들 테니까 증가 가능성이 있지만, 단위당 변동원가는 변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세요. 우리가 쇼핑할 때 하나 살 때랑 여러 개 살 때 할인되는 경우를 생각해 보세요.

 

관련 범위 밖에서 총고정원가는 일정하다. 란 지문이 아니겠죠. 변화가능성이 충분히 있어요. 저 지문이 맞기 위해서는 관련 범위 밖이 아니라 관련 범위 내에서가 되야겠죠. ③ 관련 범위 내에서 단위당 변동원가는 일정하다는 맞는 지문이겠죠. ②④번 지문은 읽어보시면 됩니다. 정답은

  관련 범위 내 관련 범위 밖
총고정원가 일정 증가 가능(새공장필요, 추가 기계구입)
단위당고정원가(총고정원가/생산량) 생산량 증가하면 감소 변화 가능성(총고정원가 증가)
총변동원가 생산량 증가하면 증가 증가 가능
단위당 변동원가(총변동원/생산량) 일정 변화 가능성(대량 구매 할인 등)
반응형

전산회계 1급 113회 9번

고정원가와 변동원가, 총고정원가 기준과 단위당 고정원가, 총변동원가 기준과 단위당 변동원가 기준 관련 문제죠. 이런 문제가 잘 나와요. 시험은 우리가 헷갈려하는 걸 잘 알고 있거든요. 다 아는 문제보다 헷갈리거나 잘 모르겠는 걸 출제하죠. 조업도는 생산량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조업도 총고정원가 단위당 고정원가 총 변동원가 단위당 변동원가
100 500,000 500,000/100 = 5,000 200,000 200,000/100 = 2,000
200 500,000 500,000/200 = 2,500 200,000 × 2 = 400,000 400,000/200 = 2,000
300 500,000 500,000/300 = 1,667 200,000 × 3 = 600,000 600,000/300 = 2,000
400 500,000 500,000/400 = 1,250 200,000 × 4 = 800,000 800,000/400 = 2,000

 

조업도(생산량)이 증가할수록 총고정원가와 단위당 변동원가는 일정해요. 변함이 없어요. 하지만 단위당 고정원가는 감소, 총변동원가는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답니다. 

① 고정원가는 조업도가 증가할수록 단위당 원가도 증가한다.(x) 단위당 원가는 조업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니까 틀린 지문입니다. 정답은 ①번입니다.  

전산회계 1급 114회 9번

원가 분류 관련 문제예요. 기회원가, 관련원가, 매몰원가는 의사결정의 관련성에 따른 분류죠. 관련원가에 기회원가, 비관련원가는 매몰비용. 변동원가는 원가형태에 따라 고정/준고정원가, 변동/준변동원가로 나뉘는 구조잖아요. 정답은 ①변동원가입니다.

 

그래도 처음보다는 조금 눈에 익히니까 괜찮죠. 자꾸자꾸 하다 보면 기출문제 유형이 들쑥날쑥이 아니라 거기서 거기인지라 문제 적용을 하는데 수월해지실 거예요. 그럼 다음에 원가개념과 분류 관련기출문제 함께 풀어보아요. 

 

전사회계 1급 기출문제 분석
전사회계 1급 기출문제 분석

▼ 파이썬 혼자 공부하기 망설이셨던 분들, 하루 5분 꼼꼼한 파이썬 강의 ▼

 

파이썬 자주 사용되는 용어 정리 → 표현식, 키워드, 식별자, 주석, 들여쓰기

1. 프로그래밍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파이썬을 배우다 보면 표현식(Expression), 키워드(Keyword), 식별자(Identifier) 같은 용어들이 자주 등장합니다. 초보자들에게는 이런 용어들이 낯설게 느껴질 수

caramelfilm.tistory.com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