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움N도전일기/회계 자격증 도전기

전산회계1급 1일1기출 | 종합원가계산Ⅱ (평균법,선입선출법)

kind-blossom 2025. 4. 16. 16:55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저번 시간에 이어서 종합원가계산, 그중에서 종합원가계산의 분류에 대해 배울거에요. 종합원가계산에서 평균법과 선입선출법을 배울텐데요. 개념을 잘 보시고, 제가 제시한 예제 문제를 풀어보신다면 충분히 이해가 되실거에요. 그럼 오늘도 벅차오르는 지식에 대한 호기심으로 시작해볼까요. 

 

전산회계1급 1일1기출 | 종합원가계산Ⅱ (평균법,선입선출법)

반응형

1. 평균법

평균법은 전기에 이미 착수한 기초재공품의 기완성도를 무시하고, 기초재공품 생산을 당기에 착수한 것으로 가정한 방법인데요. 쉽게 말해서 기초재공품 원가와 당기에 투입된 원가를 합산하여 평균 원가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기초재공품과 당기의 원가를 구분하지 않고 모든 원가를 동일하게 취급하는거죠.

 

그래서 계산이 굉장히 간편해요. 다만 전기와 당기 원가를 평균내기 때문에 원가 변동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과 전기와 당기의 성과를 홉하여 보여주기 때문에 원가 통제나 성과 측정이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죠. 

 

계산 방법은 아래와 같아요.

평균법 계산방법
평균법 계산방법

 

 

예제 하나를 함께 풀어볼게요.

 

(주)나인은 종합원가계산방법에 의해 원가를 배부하고 있다.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법에 의한 기말 재공품과 완성품 원가를 계산하시오. 당기 투입량은 1,600개이고 당기 발생 재료비는 25,500원, 당기 발생 가공비는 19,000원이다. 

평균법에 의한 종합원가계산 예제

 

(풀이)

 

step1. 물량흐름 파악하기

완성품 수량을 기초재공품에서 완성된 수량과 당기착수에서 완성된 수량으로 구분하지 않는다.

 

재공품 T계정

기초재공품수량 + 당기 착수량 = 완성품 수량 + 기말재공품수량

 

step2. 완성품 환산량 계산하기

총완성품환산량 = 완성품의 완성품환산량 + 기말재공품수량 × 원가요소별완성도

원가요소별 총완성품환산량계산
원가요소별 총완성품환산량계산

 

 

step3. 총원가 및 단위당 원가 계산하기

 

재료비 : 4,500원(기초) + 25,500원(당기) = 30,000원

단위당 재료비 : 30,000원 / 1,900개 = 약 15.79원

 

가공비 : 3,000원(기초) + 19,000원(당기) = 22,000원

단위당 가공비 : 22,000원 / 1,700개 = 약 12.94원

 

 

step4. 완성품 원가와 기말재공품원가 계산하기

 

완성품 원가 계산

재료비 : 1,500개 × 15.79원 = 23,686원

가공비 : 1,500개 × 12.94원 = 19,410원

∴ 총 완성품 원가 : 23,686원 + 19,410원 = 43,095원

 

기말재공품 원가계산

재료비 : 400개 × 15.79원 = 6,316원

가공비 : 400개 × 50% × 12.94원 = 2,588원

총 기말재공품 원가 : 6,316원 + 2,588원 = 8,904원

2. 선입선출법

전기에 착수한 기초재공품이 당기에 우선적으로 완성품으로 완성되고, 그 이후에 착수된 수량이 완성품과 기말재공품이 된다고 가정하고 계산하는 방법이에요.

기초재공품이 먼저 완성되고, 그 후에 당기에 투입된 원가가 완성된다고 가정하는 방법이란거죠. 즉, 전기의 원가와 당기의 원가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계산합니다 

 

당기에 투입된 원가만을 사용하여 계산하는 원가 변동을 정확하게 반영한다는 장점과 전기와 당기의 성과를 구분하여 보여주기때문에 원가 통제나 성과측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죠. 반면에 계산이 복잡해요.

 

계산 방법은 아래와 같아요.

선입선출법 계산방법
선입선출법 계산방법

 

예제 하나를 함께 풀어볼게요.

 

(주)나인은 종합원가계산방법에 의해 원가를 배부하고 있습니다.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선입선출법에 의한 기말재공품과 완성품 원가를 계산하시오. 당기투입량은 1,400개이고 당기발생재료비는 22,000원과 당기 발생 가공비는 16,500원이다.

선입선출법 계산문제
선입선출법 계산문제

 

step1. 물량흐름 파악하기

선입선출법은 먼저 들어온 원가부터 먼저 나간다는 원리죠. 즉 기초재공품은 가장 먼저 완성되어 나간다고 보는게 종합원가계산 선입선출법입니다. 그래서 완성품은 둘로 나눠 계산해야 해요. 

 

기초재공품 완성품과 당기착수 완성품으로 나뉠텐데요. 기초재공품은 전기(지난기)에 착수한 것에 올해 완성된 것이고 당기착수 완성품은 올해 새로 만들어서 올해 완성된 것이에요. 이 두가지가 합쳐져서 완성품 수량이 되는겁니다. 

 

아래 재공품 T 계정을 보면 우선 기초재공품 200개와 당기 투입량(당기착수량)이 1400개죠. 총 생산가능 수량이 1600개가 된다는거에요. 거기에서 기말재공품이 300개였으니까 완성품수량은 1300개가 되는거죠. 즉 완성품 수량 구성이 기초재공품 완성분과 당기 착수(당기 투입)완성분이 합해진 거니까.

완성품 수량은 전기부터 있었던 것이 완성된 기말재공품 완성 200개와 당기 착수 완성품은 1100개가 되는겁니다. 

 

제공품 T계정

 

step2. 완성품 환산량 계산하기

원가요소별 당기완성품 환산량 계산
원가요소별 당기완성품 환산량 계산

 

 

선입선출법은 기초재공품부터 먼저 완성된 것으로 보고, 당기에 착수한 제품 중 완성된 것들은 저부 다 이번 기간에 100% 완성된 것으로 봅니다. 그러므로 당기 착수완성품은 재료비와 가공비 모두 100% 투입된 것으로 간주하는겁니다. 

 

여기서 잠시 용어좀 정리하고 갈게요. 여러분들은 머리가 좋아서 이해가 되셨을지 모르지만, 저는 처음 원가회계를 혼자 공부할 때 당기투입과 당기착수가 책에 따라사 마구잡이로 나오는 바람에 정리가 안되었어요.

 

당기투입은 이번 회계기간 동안 생산에 투입된 전체 수량을 말해요. 

당기착수는 이번 기간에 새롭게 착수한 제품 수량을 말하고요. 즉 원재료가 처음으로 생산에 들어간 수량을 말하죠. 

 

실제로 당기투입은 당기착수분 + 일부 재작업분(있을 경우) 를 의미하고 당기착수는 진짜 이번에 처음 착수한 수량을 의미하는거죠. 즉 일반적인 원가계산 문제에서는 재작업 같은 특수 케이스가 없기때문에 당기투입과 당기착수를 동일하게 봐도 무방하게 된거죠. 

 

step3. 총원가 및 단위당 원가 계산하기

재료비 : 22,000원

환산단위 : 1,400

단위당 재료비 : 22,000원 / 1,400개 = 약 15.7원

 

가공비 : 16,500원 

환산단위 : 1,320

단위당 가공비 : 16,500원 / 1,320 = 12.5원

가공비 환산단위 계산(환산단위(가공비 기준)을 모두 합한게 가공비 환산단위)
가공비 환산단위 계산(환산단위(가공비 기준)을 모두 합한게 가공비 환산단위)

 

step4. 완성품 원가와 기말재공품원가 계산하기

원가계산

 

기초재공품 200개재료비 3,000원(전기발생분)가공비 200개 × 50% ×12.5 = 1,250원합계 : 4,250원

 

당기 착수 완성품 1,100개재료비 1,100 × 15.7 = 17,270원가공비 1,100 × 12.5 = 13,750원합계 : 31,020원

 

∴ 총 완성품 원가 = 4,250원 + 31,020원 = 35,270

 

기말재공품 원가계산

재료비 : 300개 × 15.7 = 4,720원

가공비 : 300개 × 40% × 12.5원 = 1,500원

∴ 총 기말재공품 원가 : 4,720원 + 1,500원 = 6,220원

 

 

평균법보다 계산하는게 조금 복잡하죠. 솔직히 저도 원가회계를 처음 공부할 때 이부분에서 젤 먼저 막혔어요. 눈물이 날 정도로 원가회계가 싫어진 첫 단계였답니다. 전산회계1급에서 출제될 때는 조금 더 심플하게 그리고 유형 자체도 많이 변경되지 않게 나와요. 다음 시간에 관련 기출문제를 풀어볼텐데요. 어려운거 알고 있으니까 힘을 내서 조금만 반복해주세요. 

 

저도 말로설명하는것보다 그걸 풀어서 글로 쓰려니까 답답할 때도 많거든요. 이해하시는 여러분들은 더 그렇겠죠? 혹시라도 질문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 또는 방명록에 남겨주세요. 제가 작은 도움이라도 드리고 싶어요. 

 

그럼 다음 시간에는 기출문제 중 관련문제를 함께 풀어보도록 할게요. 오늘도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전산회계1급 기출문제 분석
전산회계1급 기출문제 분석

 

  ♠     파이썬 공부를 하고 싶다면, 꼼꼼하게 정리된 이곳으로    ♠  

 

파이썬 독학 무료 강의 | None(값 없음) 의미와 활용법 [033강]

이번 강의에서는 파이썬에서 '값이 없음'을 의미하는 특수한 값 None에 대해 배웁니다. 초기값 설정, 반환값 처리, 조건 판단 등에 유용하게 쓰이는 개념이에요. 잘 익혀두면 프로그램의 흐름과

caramelfilm.tistory.com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