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도 전산회계1급 원가회계 이론을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질텐데요. 요즘 우리가 배우고 있는 보조부문 배분방법을 왜 배워야 하는지 한 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어서요.
제조부문은 제품의 제조활동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부문이고, 보조부문은 직접 제품 제조활동을 하지는 않지만 제조부문의 생산활동에 없어서는 안 되는 부문이에요.
따라서 보조부문은 제조부문에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다른 보조부문에도 서비스 일부를 제공함으로서 생산활동을 백업해주는 역할인거죠. 그러니까 보조부문에서 발생한 원가도 제품제조와 간접적으로 관련된 간접원가의 일부로 적잘하게 제품에 배부되어야 한다는거에요.
그래서 우리가 저번시간에는 보조부문 상호간의 용역수수에 따른 배분방법(직접배분, 단계배분, 상호배분법)을 운거고요. 오늘은 보조부문 원가행태에 따른 배분방법을 배울거에요.
공부를 함에 있어서 우리가 이걸 왜 배우는건지 어디에 속해있는지를 알면 조금 더 내용을 이해하기 쉬워지더라고요. 오늘도 그럼 우리 열심히 함께 배워보아요.
전산회계1급 1일1기출 | 보조부문 원가행태에 따른 배분방법
오늘 배우게 될 보조부문 원가행태에 따른 배분방법 단일배분법과 이중배분율법은 저번시간에 배웠던 보조부문 상호간의 용역수수에 따른 배분방법인 직접배분법, 단계배분법, 상호배분법과 서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요.
보조부문 원가행태에 따른 배분방법은 보조부문 원가행태를 변동원가(변동비)만 포함하여 배분할 것인지, 고정원가(고정비)도 포함해서 배분할지에 대한 이야기에요.
즉 변동원가(변동비)만 포함하여 배분한다면, 변동비만 배분하여 실제 사용량에 따라 공정하게 배분하면 되는 것이고, 고정원가(고정비)도 포함하여 배분한다면 총원가를 배분하면 되는거잖아요.
단일배분율법
보조부문원가를 제조부문에 배분할 때 변동비와 고정비로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배분율을 사용하는 방법이에요. 예를 들어서 전력부가 있고, 제조부문(A부문,B부문)이 있다고 가정해보렉요. 전력부의 총 원가는 100만원이고 사용량은 A부문이 60%, B부문이 40%라고 할 때를 생각해볼게요.
단일배분율 계산율 계산은 총원가 ÷ 총 사용량 = 배분율 로 하는거에요.
즉 100만원의 60%, 100만원의 40%로 계산을 하는거죠. A부문은 60만원 배부, B부문은 40만원을 배부하는거겠죠.
굉장히 단순하게 배분을 하는거지만, 변동비와 고정비가 구분되지 않아 원가 배분의 정밀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어요.
이중배분율법
이중배율법은 보조부문원가를 변동비와 고정비로 구분하고, 이들을 각각 별개의 배분기준을 사용하여 제조부문에 배분하는 방법이에요. 고정비는 보조부문이 제공하는 용역에 대한 각 부문의 최대 사용량을 기준으로 배분하고, 변동비는 각 부문의 실제 사용량을 기준으로 배분하는거에요.
간단하게 예를 들어볼게요.
전력부의 원가(총 100만 원)를 변동비 60만 원, 고정비 40만 원으로 나눈다고 가정해볼게요.
→ 변동비 배분: 실제 사용량 기준으로 배분한다고 가정.
A부문(60%) → 60만 원 × 60% = 36만 원
B부문(40%) → 60만 원 × 40% = 24만 원
→ 고정비 배분: 예정 사용량 기준으로 배분( 예정 사용량이 A부문 50%, B부문 50% 가정)
A부문: 40만 원 × 50% = 20만 원
B부문: 40만 원 × 50% = 20만 원
∴ 최종 배분 결과
A부문: 36만 원(변동비) + 20만 원(고정비) = 56만 원
B부문: 24만 원(변동비) + 20만 원(고정비) = 44만 원
아주간단한 예시였는데 감이 오시나요?
전산회계1급 시험에서는 거의 나오지 않는 파트지만, 알고는 계셔야 할 것 같아 설명드렸답니다. 다음 시간에는 왕왕 중요한 개별원가계산을 들어갈거에요. 개별원가계산, 정상원가계산, 배부차이까지 공부를 하시면 힘은 드시겠지만, 원가회계 80% 이상은 정복하신거나 다름없으니까 다음시간에도 우리 힘내보아요.
오늘도 고생하셨고, 다음에 또 유용한 지식을 가지고 돌아올게요.

♠ ♠ ♠ 파이썬 공부를 하고 싶다면, 꼼꼼하게 정리된 이곳으로 ♠ ♠ ♠
딕셔너리(Dictionary)의 개념과 활용법 [030강]
이번 강의는 파이썬의 중요한 자료형인 딕셔너리(dictionary)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딕셔너리는 데이터를 키(key)와 값(value)의 쌍으로 저장하며, 실제 프로그래밍에서 매우 자주 사용됩니다. 이번
caramelfilm.tistory.com
'배움N도전일기 > 회계 자격증 도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산회계1급 1일1기출 | 개별원가Ⅱ (0) | 2025.04.09 |
---|---|
전산회계1급 1일1기출 | 개별원가Ⅰ (0) | 2025.04.09 |
전산회계1급 1일1기출 | 보조부문 상호 간의 용역 수수에 따른 배분방법 관련 기출문제 풀이 (2) | 2025.04.03 |
전산회계1급 1일1기출 | 보조부문 상호 간의 용역 수수에 따른 배분방법 관련 기출문제 (2) | 2025.04.02 |
전산회계1급 1일1기출 | 보조부문 상호 간의 용역수수에 따른 배분방법 (4)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