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시간은 단기매매증권에 대해 배워보았는데요. 다른 회차 기출 3문제 모두 풀어보셨죠. 간단한 해설 및 정답을 알려드릴게요.
<해설>
112회 기출 실무2번 (5)
단기매매증권 처분과 관련된 문제입니다.
단기시세차익을 목적이라는 말을 본 순간 단기매매증권을 떠올리셔야 해요. 또 하나 처분문제가 나왔을 때는 취득금액(장부금액)과 처분금액을 비교해서 손실을 따지셔야 합니다. 이 문제에서 또 하나 챙기셔야 하는게 취득 시 거래수수료인데요.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취득 시 거래수수료는 수수료비용(영업외비용)으로 처리해야 하므로 여기에서는 눈길주지마세요.
정답은 아래와 같습니다.
(차변) 보통예금 37,000,000(←처분금액) (대변) 단기매매증권 35,000,000(취득수량×취득가액)
단기매매증권처분이익 2,000,000
114회 기출 실무2번 (4)
단기매매증권 보유중에 있어 주식일 경우는, 배당금 수익으로 채권의 경우는 이자수익으로 처리하면 된다고 했죠.
정답은 (차변) 보통예금 2,300,000 (대변) 배당금수익 2,300,000 입니다.
117회 이론 5번
단기매매증권 이론에 대한 문제입니다. 대체적으로 지문들이 평이하게 나온 수준입니다만 항상 낯선 지문에 흔들리지 말고 완전히 맞거나 완전히 틀린 것을 찾으셔야 해요. 많이 보았던 것들에 항상 답이 있어요.
③번 취득과 직접 관련된 거래원가는 최초 인식하는 공정가치에 가산한다. 라는 지문이 있죠. 최초 인식 이후에는 공정가치로 측정을 하죠. 공정가치의 변동은 당기손익으로(단기매매증권평가이익, 또는 단기매매증권평가손실) 인식해요. 취득 시점에 공정가치는 거래원가에 포함하는게 아니라 거래원가는 발생한 시점에 비용으로 처리를 합니다.
이래도 갸우뚱 하시죠. 이럴 때는 예시거래로 이해하시는게 제일 빨라요. 저도 항상 글을 읽고 거래 예시로 이해를 했어요. 제가 머리가 좀 나빠요. ㅎㅎㅎ 아래 거래 예시로 이해해보시죠.
단기매매증권 취득시 취득시점에 1,000,000원의 시장가격을 기준으로 단기매매증권을 취득했다.취득 시 발생한 수수료는 10,000원이다. 그럼 취득시 공정가치 기준으로 분개를 하죠. (차변) 단기매매증권 1,000,000 (대변) 현금 1,010,000 수수료비용 10,000 여기서 수수료비용이 거래원가를 뜻합니다. 거래원가는 금융상품을 거래할 때 발생하는 직접적인 비용을 의미해요. 주로 매매 수수료, 중개인 수수료, 기타 비용 등을 포함해요. 단기매매증권의 공정가치에 거래원가가 가산되는게 아니라 당기손익(영업외비용)으로 반영하는거겠죠. |
어때요? 이해되셨죠. 거래원가라는 말에 갸우뚱 할 수 있는 내용이었답니다. 그렇다면 보기 ④번 지문도 한 번 보고 갈게요. 미실현보유손익이라는게 쉽게 말해서 아직 실현되지 않은 것, 즉 실제 매도나 거래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한 손익을 의미해요. 공정가치 변동에 따른 손익이요. 이것도 거래로 예를 들어볼게요.
1,000,000운에 취득한 딘개매매증권의 공정가치가 기말에 800,000원으로 하락했을 때, 200,000원이 미실현손익이 되는거죠. (차변) 단기매매증권평가손실 200,000 (대변) 단기매매증권 200,000 즉 단기매매증권평가손실은 당기손익에 반영되는거겠죠. |
그래서 정답은 ③번입니다.
단기매매증권에 대해 다시 한 번 꼭 복습해보시고, 다른 기출문제도 풀어보세요. 그럼 다음 내용으로 다시 만나요.

▼ 파이썬 공부 시작하기 망설이셨던 분들, 하루 5분 파이썬 강의 ▼
#하루 5분 독학, 파이썬 365강의_[012 : 연산자와 표현식(연산자 우선순위)]
▶하루 5분 독학, 파이썬 365강의_[011 : 연산자와 표현식(연산자 우선순위)]◀1. 연산자와 표현식이란? ⊙ 연산자(Operator):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사용하는 기호 ⊙ 표현식(Expression): 연산자를
caramelfilm.tistory.com
'배움N도전일기 > 회계 자격증 도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일1기출 계정 관련 기출 전산회계1급 합격 (10) | 2025.03.09 |
---|---|
1일1기출 118회 6번 문제분석 전산회계 1급합격 (2) | 2025.03.09 |
1일1기출 기출 118회 5번 문제분석 전산회계1급 합격 (5) | 2025.03.06 |
전산회계1급 감가상각비 관련 예제112회 114회 116회기출 전산회계1급 합격 (1) | 2025.03.06 |
전산회계 1급 합격 1일 1 기출 118회 이론시험 4번 (1) | 2025.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