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번시간에는 118회 1번 문제를 함께 풀어보았죠. 공부는 예습보다 복습 아시죠?
이론문제 1번에 대한 핵심 포인트를 잘 익히셨다면, 아래 문제는 쉽게 풀릴거예요. 저번시간 복습도 하면서 다른 회차 기출문제도 정복해 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116회 기출문제입니다. 한 번 풀어보세요.
🖊️ 재무제표와 관련된 문제.
▼ ▼ ▼ ▼ ▼ ▼ 재무제표 내용 확인 ▼ ▼ ▼ ▼ ▼ ▼
전산회계 1급 합격 | 1일1기출 118회 이론시험 1번 문제분석
전산회계 1급 합격 | 1일 1 기출 118회 이론시험 1번 문제분석 1. 평가 내용118회 이론시험 1번 문제는 회계원리에 해당하는 문제예요.회계원리 문제는 전산회계2급 수준이거나 아주 조금 높
kind-blossom.tistory.com
핵심은 재무제표 중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를 잘 알면 된다고 했잖아요. 정답은 몇번인가요? ②번이죠. 손익계산서는 일정기간이었잖아요. 한 번 배운건 모두 맞추자란 생각으로 공부하셔야 합니다.
1일1기출 전산회계 1급 | 118회 이론시험 2번 문제분석
※ 이번시간은 118회 이론2번 문제를 함께 풀어볼게요. 오늘도 열심히 해봅시다.
1. 평가내용
대손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전산회계1,2급 모두 중요한 파트예요. 이게 이해를 하면 굉장히 쉬운데 한 번 꼬이기 시작하면, 자꾸 어렵게 생각해서 개념을 잡지 못하는 파트이기도 합니다. 이론, 실무 모두 잘 나오는 내용이니까 우린 어떻게 나타나도 나 맞자고요. ^^ 2번 문제는 대손 회계처리 문제죠. 전산회계2급에서도 자주 출몰해요. 이론 또는 실무에서요.
2. 해당 문제 핵심 내용
대손, 대손충당금, 대손상각비를 알고 계시죠. 학교 수업에서도 아이들이 대손을 설명하면 굉장히 힘들어해요. 근데 저도 회계공부를 할 때 대손이 잡힐 듯 잡히지 않는 존재여서 그마음을 잘 알았죠. 우선 대손, 대손상각비, 대손충당금이 뭔지를 정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어요.
대손 | 외상매출금 등 채권 따위를 돌려받지 못하여 손해 보는 일 (수취채권이 회수불능 상태가 된 것) |
대손충당금 | 재무상태표의 자산 가운데 받을어음 등 채권 중에서 회수 불능이라 추정되는 금액(기말의 매출채권 중 회수불가능 금액을 추정해서 나타낸 계정) |
대손상각비 | 매출채권 등에서 회수가 어려운 것으로 예상되는금액을 발생주의에 따라 비용으로 처리하는 것(현금이 따르는 것을 의미하지 않음) |
대손충당금을 뭔가 손해를 위해서 쌓아둔 돈으로 오해하기 쉬워요. 사실 제가 처음에 그랬어요. 그렇게 이해를 해버리면 회계처리를 할 때 굉장히 애매해서 틀리게 된답니다. 대손충당금을 떼일 것을 대비해서 쌓아두거나 적립해둔 돈이 아니랍니다. 대손충당금은 매출채권 중에서 대손이 예상되는 금액을 추정한거예요. 그래서 대손추정액, 회수불능추정액이라고 생각히면 되는겁니다. 대손상각비도 뭔가 돈을 써버린게 아니라 대손예상비, 회수불은예상비로 이해를 하는게 맞아요.
아래 그램을 보세요. 외상으로 상품을 판매하면 외상매출금 증가(차변), 외상매출금을 회수했다면 감소(대변)이겠죠. 근데 외상매출금 중 일부를 받지 못하게 될 것으로 예상이 된다면, 대손충당금을 설정하는거죠. 그럼 대손충당금을 외상매출금을 받지 못하게 될 것이라 했으니까 대변에 대손충당금을 적어줘야겠죠.(외상매출금 감소시키는 성격) 대손예상액이 줄었다면 차변으로 적어주면 되는거겠죠.
재무상태표의 외상매출금과 대손충당금 각각의 잔액이 기입될거고요. 그러니까 외상매출금 중 대손충당금을 뺀 나머지가 회수가능금액이겠구나 판단할 수 있는거겠죠. 이해하셨나요? 여기서 제가 이해를 돕기 위해서 재무상태표를 표시한거고, 재무상태표 실제 표시는 외상매출금 바로 아래 대손충당금을 적어주죠. (금액)을 적어서요. 이유는 대손충당금을 대변에 적게 되면 부채로 오해할 소지가 있으니, 자산 아래 대손충당금을 (금액)으로 적어준 후 바로 옆에 회수가능금액을 적어주는거예요.
그렇다면 분개 문제 하나를 한 번 풀어볼까요?
Q. 구구상사의 파산으로 인해 외상매출금 1,000,000원이 회수불가능하게 되어 대손처리 하였다. 외상매출금에 대한 대손충당금 현재 잔액은 280,000원이며, 대손세액공제는 고려하지 않기로 한다.
➡ (차변) 대손충당금 280,000 (대변) 외상매출금(구구상사) 1,000,000 대손상각비(판) 720,000
3. 문제 해설 및 정답
외상매출금 잔액이 2,000,000원이라고 했죠 당기 외상매출금 잔액 1,200,000원이 대손처리된 경우 인식할 대손상각비가 얼마냐, 단 기초대손충당금 잔액이 1,000,000원이 있다고 했을 때란 단서를 놓치면 안됩니다. 위에 있는 분개 문제를 풀었다면 충분히 풀 수 있겠죠.
(차)대손충당금1,000,000 (대변) 외상매출금 1,200,000
대손상각비 ( ? )
대손상각비는 200,000원이 됩니다. 정답은 ①번입니다.
TIP) 대손 문제 유형이 굉장히 정해져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대손, 대손충당금, 대손상각비 개념을 알고 분개를 할 줄 안다면 다른 유형도 충분히 문제를 풀 수 있어요.
아래 대손 관련 기출문제 2문제를 놓고 갈게요. 한 번 풀어보세요.
그럼 다음 시간에 다시 만나요. 오늘도 전산회계1급 합격에 한뼘 더 다가갔을거예요.

▼ 파이썬 공부 시작하기 망설이셨던 분들, 하루 5분 파이썬 강의! ▼
#하루 5분, 파이썬 365강의_[003. 기본 문법과 실행 방법]
▶하루 5분, 파이썬 365강의_[003. 기본 문법과 실행 방법]◀■ 파이썬 코드 실행 방법파이썬을 설치한 후, 기본적인 코드를 실행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파이썬 코드를 실행하는 방법은 여
caramelfilm.tistory.com
'배움N도전일기 > 회계 자격증 도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산회계 1급 합격 1일 1 기출 118회 이론시험 4번 (1) | 2025.03.05 |
---|---|
전산회계 1급 합격 1일 1 기출 118회 이론시험 3번 문제분석 (2) | 2025.03.04 |
1일1기출 전산회계1급 118회 이론시험 1번 문제분석 (2) | 2025.03.01 |
전산회계 합격 필수 전산회계 1급 시험 평가 범위 알아보기 (3) | 2025.03.01 |
전산회계 합격 첫걸음 한국세무사회 사이트 가입하기 (2) | 2025.02.28 |